말씀- 영혼의 진수성찬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죽일 듯한 갈등에서 축복하며 헤어지기까지 – 창세기 31장의 은혜의 전환점 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인간관계를 맺습니다.처음엔 웃으며 시작된 관계도, 시간이 지나면서 오해가 쌓이고, 기대가 어긋나고, 결국엔 얼굴도 보기 싫은 사이로 변해버리는 경우도 있죠.창세기 31장에서 야곱과 라반의 이야기는 가족 간의 갈등이 얼마나 깊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생생한 기록입니다.하지만 이 이야기의 끝은 놀랍게도 ‘축복하며 헤어짐’으로 마무리됩니다.도저히 화해할 수 없어 보이는 관계가 어떻게 회복될 수 있었을까요? ⚡ 쌓이고 쌓인 갈등, 터지다야곱은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무려 20년을 지냈습니다. 아내를 얻기 위해 14년, 가축을 얻기 위해 6년을 수고하며 살았죠.야곱의 손이 닿는 곳마다 복이 임했고, 라반의 집은 마치 구멍가게가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처럼 번성했습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라.. 예수님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삶 예수님의 아름다움 “주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그 성전에서 사모하는 그것이라” (시 27:4)어떤 날은 마음이 쉽게 지칩니다.세상이 너무 거칠게 느껴지고, 사람들의 말과 시선에 마음이 조각나는 듯할 때가 있습니다.그럴 때마다 저는 한 가지를 떠올립니다.예수님의 얼굴을 바라보는 것.다윗은 말했습니다."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 가지 일은 그분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그 성전에서 사모하는 것이라."(시편 27:4)이 말은 그저 신앙적인 문장이 아니라,인생의 중심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고백입니다.바라보는 것이 나를 만듭니다사람은 자신이 자주 바라보는 것을 닮아갑니다.눈은 마음의 창입니다.내가 무엇을 자주 보고, 마음에 품고, 생각하느냐에 따라내 인격도, 태도도, 결국 인생의 방향도 결정됩니다.야곱은 .. 영적 의미로 본 바라봄의 법칙 1) 보는 것이 생각을 지배한다우리가 무엇을 자주 보느냐는 곧 우리가 어떤 생각을 품고 사느냐를 결정합니다.예: 매일 실패를 상상하면 실패가 현실이 되기 쉽습니다.반면에, 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보면 소망과 담대함이 생깁니다. 2) 마음에 그린 그림이 현실이 된다야곱의 양 떼는 줄무늬를 보고 번식했을 뿐 아니라,야곱 자신도 마음속에 **믿음의 그림(축복받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3) 믿음의 눈으로 바라보는 연습히브리서 12:2“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상황이 아닌 예수님을 바라보는 삶이 신앙의 핵심입니다.🎯 적용 포인트실제 삶에서 바라봄그 결과계속 문제만 바라봄낙심, 염려, 두려움다른 사람의 기준 바라봄비교, 열등감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봄평안, 소망, 열매✨ 한 줄 요약“내가.. 약속은 받았으나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 야곱의 죽음에서 배우는 믿음의 삶 창세기 50장 묵상 1. 언약을 품고 눈을 감다: 야곱의 마지막 선택야곱은 생의 마지막을 애굽에서 보냈습니다.눈앞에 펼쳐진 현실은 하나님의 약속과는 정반대였습니다.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이삭, 그리고 야곱에게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하지만 야곱은 그 땅을 소유하지 못한 채 타국에서 죽음을 맞이합니다.그는 언약을 소유하지 못한 채 죽었지만, 그 언약을 버리지 않았습니다.야곱은 유언을 남깁니다.“나를 가나안 땅, 막벨라 굴에 장사해다오.”그의 몸은 애굽에서 죽었지만, 마음은 여전히 약속의 땅을 향하고 있었습니다.그는 소유가 아니라 믿음을 유산으로 남긴 것입니다.2. 언약을 소유하지 못했다고 실패가 아니다야곱은 하나님께 받은 언약을 끝까지 믿었습니다.그런데 그의 삶을 보면, 현실은 그 약.. 창세기 16장의 ‘여호와의 사자’는 예수님일까? 창세기 16장에서 하갈이 광야에서 만난 **“여호와의 사자”(mal’akh YHWH, מַלְאַךְ יְהוָה)**는 단순한 천사가 아니라 예수님의 ‘신현’(theophany, 혹은 기독론적 현현, christophany)일 가능성이 큽니다. 1. '여호와의 사자'는 단순한 천사가 아니라 하나님으로 불린다창세기 16:7-13을 보면, 여호와의 사자가 하갈에게 나타나 그녀와 대화합니다.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이 사자가 단순한 천사로만 묘사되지 않고, 직접 하나님처럼 말하고 행동한다는 점입니다. 📖 창세기 16:10"여호와의 사자가 또 그에게 이르되 ‘내가 네 자손을 크게 번성하여 그 수가 많아 셀 수 없게 하리라’ 하니라."천사는 스스로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하나님의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 성경 속 상수리나무의 깊은 의미와 상징 🌳 1. 상수리나무의 히브리어 명칭과 종류성경에 나오는 상수리나무는 히브리어로 ‘알론(אלון)’과 ‘엘라(אלה)’ 두 가지로 나뉩니다.알론(אלון): 도토리가 열리는 참나뭇과 나무로, 성경에서 주로 ‘상수리나무’ 또는 ‘참나무’로 번역됩니다.엘라(אלה): 테레빈나무로, 참나무와는 다른 나무입니다. 열매는 포도송이 모양의 작은 열매가 달리며, 외형이 알론과 비슷해 혼동되기도 합니다. 2. 성경에 등장하는 상수리나무의 주요 사건(1) 아브라함과 모레 상수리나무창세기 12장에서 아브람(아브라함)은 세겜 땅 모레 상수리나무 아래에서 처음으로 하나님께 제단을 쌓고 예배를 드립니다.(2) 야곱과 테레빈나무 아래의 우상 매장창세기 35장에서 야곱은 가족들이 섬기던 우상과 귀고리를 세겜 근처의 테레빈나무 아래에 묻.. 셈과 함과 야벳 중 누가 장자인가? 많은 기독교인들은 노아의 세 아들 셈(Shem), 함(Ham), 야벳(Japheth)이 나열된 순서대로 태어난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셈을 장자로 간주하고 그가 특별한 축복을 받았다는 견해가 일반적으로 퍼져 있습니다. 그러나 정동수 목사(사랑침례교회)의 강의와 김경래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해석은 번역 오류에서 기인한 잘못된 인식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1. 성경 원문에 따른 노아의 아들들 출생 순서성경 창세기 5장 32절과 11장 10절을 보면, 노아가 500세에 첫 아들을 낳았고, 셈이 홍수 후 2년이 지나 100세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면, 셈은 노아의 첫 아들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김경래 교수는 히브리어 원문을 근거로, 노아가 500세일 때 .. 이전 1 2 다음